CS

트러블 슈팅

baek-dev 2025. 2. 28. 19:20

1️⃣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이란?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시스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에서 발생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의미함.

개발자, 시스템 관리자, 네트워크 엔지니어 등 IT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량임.

 

💡 트러블슈팅의 핵심 목표:

문제의 원인 파악 → 증상 분석, 로그 확인, 테스트 수행

해결책 적용 → 코드 수정, 설정 변경, 서버 재시작, 패치 적용

재발 방지 → 문제 해결 후,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여 동일한 문제 발생 방지

 

2️⃣ 트러블슈팅 과정 (Troubleshooting Steps)

트러블슈팅은 단순한 버그 수정이 아니라 체계적인 문제 해결 과정을 따르는 것이 중요함.

일반적인 문제 해결 과정은 다음과 같음.

 

🛠 1) 문제 정의 (Problem Identification)

어떤 증상이 발생하는지 명확하게 정의해야 함.

예제:

“웹 서버가 응답하지 않음.”

“로그인을 시도하면 500 에러가 발생함.”

“배포 후, 특정 API의 응답 속도가 급격히 느려짐.”

 

🛠 2) 문제 재현 (Reproduce the Problem)

문제를 직접 발생시켜 본다.

동일한 환경에서 재현이 가능한지 테스트함.

예제: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발생하는지 확인

특정 입력 값에서만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

서버 로그를 보며 특정 요청에서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

 

💡 문제가 재현되지 않으면 해결하기 어려움!

만약 재현이 안 된다면?

운영 환경과 개발 환경의 차이 확인 (DB 설정, 캐시, 네트워크 등)

사용자 로그 및 이벤트 히스토리 분석

최근 코드 변경 사항 확인

 

🛠 3) 로그(Log) 및 에러 메시지 분석

서버 로그, 애플리케이션 로그, 브라우저 콘솔 로그 등을 확인

로그 레벨 (INFO, WARN, ERROR, DEBUG) 을 활용하여 디버깅

예제: Spring Boot 로그 분석

2024-02-16 12:00:00 ERROR com.example.ApiController - [500] Internal Server Error

→ ApiController에서 500 오류 발생 → 원인 분석 필요

 

예제: Elasticsearch 로그 분석

{"type": "server", "timestamp": "2024-02-16T12:00:00Z", "level": "WARN", "component": "o.e.c.r.a.AllocationService", "message": "shards failed"}

→ 샤드 할당 실패 → 노드 상태 확인 필요

 

🛠 4) 원인 분석 (Root Cause Analysis, RCA)

데이터베이스 문제인지, 네트워크 문제인지, 애플리케이션 코드 문제인지 분류

예제: API 응답 속도가 느린 경우

1. DB 쿼리 실행 속도를 확인 → EXPLAIN ANALYZE 사용

2. 캐시가 적용되지 않았는지 확인 → Redis, Memcached 설정 점검

3. 서버의 부하 상태 확인 → CPU, 메모리 사용량 모니터링

 

🛠 5) 해결책 적용 (Apply Fixes and Solutions)

문제의 원인을 찾았으면 해결책을 적용

해결 방법 예시

문제 상황 해결 방법
API 응답 속도가 느림 DB 인덱스 추가, 캐싱 적용, 쿼리 최적화
서버 다운 발생 메모리 누수 확인, GC 튜닝, 서버 증설
특정 기능이 500 에러 발생 Null 체크 추가, 예외 핸들링 수정
배포 후 기능이 동작하지 않음 환경 변수 설정 확인, 의존성 버전 충돌 확인

 

🛠 6) 테스트 및 검증 (Testing & Validation)

해결 후 동일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는지 테스트

배포 전/후 테스트

문제 해결 후, 로컬 / 개발 서버에서 충분히 검증 후 운영 반영

유닛 테스트, 통합 테스트 수행

 

🛠 7) 문서화 및 재발 방지 (Documentation & Prevention)

트러블슈팅 과정을 기록하여 팀원들과 공유

예제:

[트러블슈팅 기록] 
- 문제: 배포 후 API 응답 속도 지연
- 원인: 캐시 설정 누락
- 해결: Redis 캐시 적용 및 TTL 설정 (10분)
- 테스트 결과: 평균 응답 시간 1.2s → 150ms로 단축

 

문제 재발 방지 대책:

CI/CD 테스트 강화

로그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코드 리뷰 및 테스트 커버리지 확대

 

3️⃣ 트러블슈팅 예제

✅ [예제 1] 배포 후 API가 500 에러를 반환하는 경우

 

🔍 문제 상황:

신규 배포 이후 특정 API가 500 Internal Server Error 발생

 

📌 트러블슈팅 과정:

1 문제 재현 → Postman으로 API 호출

2 로그 확인Spring Boot Logs에서 NullPointerException 발생

3 코드 분석

fun getUser(id: Long): User {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id).get() // ❌ NPE 발생 가능!
}

 

4 해결책 적용

fun getUser(id: Long): User? {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id).orElse(null) // ✅ 예외 처리
}

 

5 테스트 및 배포

6 문서화 및 공유

 

✅ [예제 2] Elasticsearch 검색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문제 상황:

Elasticsearch에서 특정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결과가 나오지 않음

 

📌 트러블슈팅 과정:

1 문제 재현 → REST API로 직접 검색 수행

GET /products/_search
{
  "query": {
    "match": {
      "name": "노트북"
    }
  }
}

 

2 로그 확인

{"level": "WARN", "message": "No results found"}

 

3 인덱스 확인

GET /_cat/indices?v

products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음! (IndexNotFoundException)

 

4 해결책 적용

PUT /products

 

5 재검색 후 정상 동작 확인

 

🎯 결론

트러블슈팅은 문제를 정의 → 분석 → 해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재현이 가능해야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로그 분석, 모니터링 도구를 적극 활용해야 함.

해결 후, 테스트 및 재발 방지를 위한 문서화가 중요함.

 

 

 

 

출처 : ChatGPT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L  (0) 2025.03.25
JIT(Just-In-Time) 컴파일러  (0) 2025.03.05
SSE (Server-Sent Events)  (0) 2025.02.19
락(Lock)과 동시성  (0) 2025.02.18
OCP 원칙 (Open-Closed Principle)  (0)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