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기 3

[Kotlin] 비동기 처리 (async, await)

코틀린의 비동기 처리 (async, await) 코틀린에서는 비동기(Asynchronous) 처리를 위해 Coroutine(코루틴)을 활용함.특히, async와 await 을 사용하면 비동기 작업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기다리는 방식으로 코드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음. 1️⃣ 비동기 처리의 필요성 코틀린에서 비동기 처리를 사용하는 이유: • CPU 작업과 I/O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 동기 코드보다 빠른 실행 가능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 • 메인 스레드를 블로킹(blocking)하지 않음 (예: UI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 2️⃣ async 와 await 개념 • async {} → 비동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정의 • await() → 비동기 작업의 결과를 반환받음 (suspend ..

BE/Kotlin 2025.03.29

[Java] 비동기 처리 (try-catch)

자바에서 비동기 처리 시 예외 처리 (try-catch) 자바에서 비동기 처리(Asynchronous Processing) 를 할 때 예외(Exception)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비동기 코드에서는 기존의 try-catch 문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예외 처리 방식을 적용해야 함. 1️⃣ 기본적인 try-catch 블록 (동기 코드에서 예외 처리) 동기(Synchronous) 코드에서는 try-catch 블록을 사용하여 예외를 쉽게 처리할 수 있음.public class SyncTryCatch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int result = 10 / 0;..

BE/Java 2025.03.28

동기, 비동기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는 프로그램 실행 방식에서 작업의 처리 순서와 제어 흐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정의하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주로 프로세스, 쓰레드, 함수 호출, 네트워크 요청 등에서 사용됩니다. 1. 동기(Synchronous)정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며, 하나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다음 작업을 실행하는 방식.특징:작업의 결과를 기다렸다가 다음 작업을 실행함.실행 순서가 직관적이며, 디버깅과 구현이 상대적으로 쉬움.작업 완료 전까지 다음 작업으로 진행하지 않으므로 성능이 느려질 수 있음.동작 방식요청 → 대기 → 결과 반환 → 다음 작업.작업 A가 끝날 때까지 작업 B는 시작되지 않음.비유“음식점에서 주문한 음식을 모두 조리한 뒤에야 고..

CS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