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와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비교 정리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 어떤 아키텍처로 구성할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임.
대표적으로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와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
두 아키텍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 배포 전략, 확장성, 유지보수 방식에 큰 차이가 있음.
1.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란?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모든 기능이 함께 동작하는 구조임.
웹 서버, API, DB 접근, 비즈니스 로직, UI 레이어 등이 하나의 코드베이스와 하나의 실행 파일로 통합되어 있음.
특징
- 단일 코드베이스
- 단일 배포 (WAR, JAR, EAR 등)
- 컴포넌트 간 강한 결합
장점
- 초기 개발이 빠르고 단순함
- 트랜잭션 처리와 디버깅이 쉬움
- 테스트와 배포가 일괄적으로 가능함
단점
- 기능이 많아질수록 유지보수가 어려움
- 하나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 줄 수 있음
- 배포 시 전체 재빌드가 필요함
- 특정 기능만 확장하기 어려움 (스케일링 단위가 전체임)
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란?
MSA는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독립적인 서비스로 나누어 구성하는 방식임.
각 서비스는 자체 데이터베이스, 독립된 비즈니스 로직, 개별 배포 가능성을 가짐.
예를 들어, 사용자 서비스, 주문 서비스, 결제 서비스가 각각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운영됨.
특징
- 서비스 간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
- 각 서비스는 독립 배포 및 확장 가능
- REST API, 메시지 큐 등으로 서비스 간 통신
장점
- 서비스 단위로 개별 확장 및 배포 가능
- 장애 격리가 가능함 (특정 서비스에만 영향)
- 다양한 언어나 기술 스택을 혼합할 수 있음
- 조직 구조에 따라 서비스 개발 분담 가능
단점
- 서비스 간 통신 복잡도 증가 (API 관리, 메시지 브로커 필요)
- 트랜잭션 관리가 어려움 (분산 트랜잭션)
- 배포 및 모니터링 환경 구축이 필요함
- 팀 간 협업 및 표준화가 필요함
3. 모놀리식 vs MSA 비교
항목 | 모놀리식 | MSA |
개발 속도 | 초기 빠름 | 초기 설정은 복잡함 |
유지보수 | 코드 많아질수록 어려워짐 | 서비스 단위로 관리 가능 |
배포 | 전체 빌드 및 배포 | 개별 서비스만 배포 가능 |
장애 영향도 | 전체 시스템 다운 가능성 | 일부 서비스만 영향 받음 |
확장성 | 전체 애플리케이션 확장 필요 | 서비스별 확장 가능 |
기술 스택 | 하나로 통일 | 서비스마다 다르게 가능 |
트랜잭션 처리 | 단일 트랜잭션 용이 | 분산 트랜잭션 처리 필요 |
팀 구조 | 소규모 팀에 적합 | 도메인별 팀 구성 필요 |
4. 실무 적용 기준
상황 추천 | 아키텍처 |
스타트업, MVP, 초기 서비스 | 모놀리식 (빠른 개발과 릴리스) |
서비스 규모 확장 중 | 모놀리식에서 점진적 MSA 전환 |
트래픽/기능 복잡도가 높음 | MSA로 분산, 확장 고려 |
많은 개발자 또는 팀이 동시 개발함 | MSA (서비스별 책임 분산) |
5. 전환 전략
많은 기업들은 처음부터 MSA를 선택하지 않고, 모놀리식으로 시작한 후 점진적으로 MSA로 전환함.
이를 "모듈화 → 서비스 분리 → API 게이트웨이 → 분산 시스템화" 로 순차 진행함.
예시 전략
- 공통 모듈 분리
- 도메인 기반 서비스 정의
- REST API 또는 메시징 기반 통신 구성
- 서비스 별 DB 분리
- 서비스 배포 자동화 및 모니터링 도입
정리
-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단일 코드베이스로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구조임. 초기에는 유리하지만, 규모가 커질수록 유지보수와 확장성에서 한계를 드러냄.
- MSA 아키텍처는 서비스들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임. 복잡성과 통신 비용이 증가하므로 적절한 조직 역량과 도구가 필요함.
- 현실적인 접근은 모놀리식으로 시작하고, 도메인/트래픽/조직의 복잡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MSA로 이행하는 것이 이상적임.
출처 : ChatGPT
'BE > Spring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Redis pub/sub (0) | 2025.04.27 |
---|---|
[Spring Boot] STOMP (1) | 2025.04.26 |
[Spring Boot] Spring JDBC (0) | 2025.04.22 |
[Spring Boot] 웹소켓 (1) | 2025.04.19 |
[Spring Boot] @CacheEvict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