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4

[Java] 메모리 계산

자바 프로그램은 힙(heap)과 스택(stack)영역에서 메모리를 관리한다. 기본 데이터 타입 메모리 크기데이터 타입크기 (바이트)비고`byte`1-128 ~ 127`short`2-32,768 ~ 32,767`int`4-2³¹ ~ 2³¹-1`long`8-2⁶³ ~ 2⁶³-1`float`432비트 IEEE 754 부동소수점`double`864비트 IEEE 754 부동소수점`char`216비트 유니코드 문자`boolean`일반적으로 1바이트JVM에 따라 다름 참조 데이터 타입 메모리 크기참조형 타입은 힙 메모리에 저장된다.1. 객체 자체 (헤더 포함) : JVM구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객체 헤더는 12~16바이트를 차지한다.2. 인스턴스 변수 : 포함된 모든 인스턴스 변수의 크기를 합산.3. 패딩 :..

BE/Java 2024.11.30

[Java] 변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자바 변수의 특징1. 타입 지정변수를 선언할때 타입을 지정 해줘야 한다.int age = 20;String name = "민수";2. 스코프변수는 선언된 위치에 따라 사용 가능한 범위가 달라진다.지역 변수 : 메서드나 블럭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로, 해당 블럭에서만 사용가능인스턴스변수 :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되며 객체에 속함클래스 변수 : `static`키워드로 선언되며 클래스에 속함3. 초기화지역 변수는 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인스턴스 변수와 클래스 변수는 기본값(0, null 등)으로 자동 초기화 된다.4. 상수 변수final 키워드를 사용해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상수로 선언할 수 있다.(상수는 변수명을 대문자로 사용)final double PI = 3...

BE/Java 2024.11.30

git 명령어

로컬저장소 생성git init  로컬 저장소 삭제rm rf .git  원격 저장소 확인git remote -v  원격 저장소 연결git remote add origin 주소  원격 저장소 삭제git remote remove origin  스테이징 영역 확인git status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git add .git add 파일명  스테이징 영역 삭제(unstage)git rm --cached 파일명  스테이징 -> 로컬 저장소git commit -m "메세지"  커밋 메세지 수정git commit --amend -m "메세지"  커밋 내역 확인git log// 나갈때 qgit log --oneline// 간단하게 표시  로컬 저장소 -> 원격 저장소git push origin main  마지막 커밋 ..

Tips 2024.11.28

마크다운 문법

1. 제목사용법# 제목1## 제목2### 제목3#### 제목4##### 제목5###### 제목6적용제목1제목2제목3제목4제목5제목62. 인용 블럭사용법> 텍스트적용텍스트3. 목록사용법- 목록1- 목록2적용목록1목록24. 링크사용법[표시할 내용](주소)적용내 tistory5. 이미지사용법![이미지 설명](이미지 주소)적용6. 영상사용법[![movie](https://img.youtube.com/vi/유튜브비디오코드/0.jpg)](https://youtu.be/유튜브비디오코드)7. 구분선사용법---적용8. 체크박스사용법- [ ] 체크x- [x] 체크o띄어쓰기 중요적용체크x체크o

Tips 2024.11.28